대우학술도서

농사직설

기본 정보

지은이
정초 변효문
옮긴이
이병희
출판사
아카넷
가격
16,000원
발행
2018년 12월 26일
판형
160*221*29mm
쪽수
240쪽
ISBN
9788957336205

도서 소개

조선의 독자적인 농업 기술을 정립하고 조선 농업의 내용을 체계화한 우리나라 최초의 농서 농사직설이 풍부한 해제와 함께 전문 연구가에 의해 번역 출간되었다.
농사직설은 1429년 조선 세종대 정초 등이 세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조선시기 대표적인 농서로서 우리나라 농업 경험을 조사해 만들어져 널리 보급되었고, 이후 편찬된 농서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조선 전기 농업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 농업과 조선 후기 농업을 이해하는 데 긴요한 문헌이다. 가령 고려시대 도입된 품종과 그 재배 방법을 조선의 노농들 사이에서 잃어버리지 않고 보존해온 것을 다시 체계적으로 수집한 내용을 담고 있다. 여러 곳에서 필요할 때마다 간행하여 보급했고 필요한 농업기술을 조금씩 증보하기도 했으며 새로운 작물을 추가하기도 하고, 기존 작물의 재배법을 보완하기도 했다.

조선시대 농법의 표준화에 기여한 대표적인 농업 지침서

이처럼 농사직설은 국가 차원에서 지속적으로 발간, 유포함으로써 조선시대 농법의 표준화에 기여한 부분이 적지 않아 농법의 핵심을 보여준다. 조선후기 농서에서도 기본적으로 농사직설을 인용하면서 부연 설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북방으로의 새 농법의 확산에도 농사직설은 큰 영향을 끼쳤는데, 당시 북방에서 농지의 개간이 활발히 전개되면서, 개간 농지에서의 적절한 작물의 선정과 재배 등에도 기여하였다. 다른 지방에서도 부분적으로 농사직설에 수록된 내용이 도움을 주었다.
이처럼 조선의 대표적인 농서이자 농업 지침서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인들까지 접할 수 있는 번역과 해설 작업이 늦어진 것은, 이 책의 역해자 이병희 교수에 따르면 조선시대 농업사 연구자의 층이 얇기 때문이다.

목차

해제 9
서문 41
 

1. 곡식 종자의 준비 45
2. 땅 갈기 53
3. 삼 재배법 65
4. 벼의 재배법 [한도(밭벼)를 덧붙임] 75
5. 기장과 조의 재배법 [저무이리조, 생동차조, 수수를 덧붙임] 113
6. 피의 재배법 [강피를 덧붙임] 127
7. 콩·팥·녹두의 재배법 133
8. 보리와 밀의 재배법 [봄보리를 덧붙임] 149
9. 참깨의 재배법 [들깨를 덧붙임] 171
10. 메밀의 재배법 179

주석 187
참고문헌 231

저자 소개

정초
문인

조선 세종 때의 문신으로 본관은 하동(河東)이고, 자는 열지(悅之)이다. 태종 5년(1405) 문과에 급제하고, 태종 7년 중시에 합격했다. 이조판서·대제학을 지냈다. 세종 초의 과학 사업에 중요한 소임을 맡아 정인지(鄭麟趾)·정흠지(鄭欽之)와 함께 『대통통궤(大統通軌)』를 연구하고 『칠정산내편(七政算內篇)』을 편찬했으며, 간의대(簡儀臺)를 제작, 설치하는 일을 관장했다. 또한 왕명에 의하여 『농사직설(農事直說)』 『회례문무악장(會禮文武樂章)』 『삼강행실도』 등을 편찬했다.

변효문
문인

조선 초의 문신으로 본관은 초계(草溪)이고, 초명은 변계문(卞季文)이며, 자는 일민(一敏)이다. 태종 14년(1414) 알성 문과에 을과 3등으로 급제, 내외직을 지낸 뒤 직제학을 거쳐 세종 10년(1428) 봉상시소윤(奉常寺少尹)을 지냈다. 세종 26년 『오례의주(五禮儀注)』를 상정(詳定)했다. 정초와 함께 『농사직설』을 편찬했다.

역자 소개

이병희
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서울대 사범대학 역사교육과에서 학부를 이수했으며, 서울대 국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 시기 및 조선 초 사원경제에 대해 여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그밖에 중세의 농업문제와 생태환경에 대해서도 관심을 두고 있다.